1. 정의
1) 기계에 인간의 시각과 판단 능력을 부여하여 사람이 인지하고 판단하는 기능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대신 처리하는 기술
2. 기능
1) 사물 인지: 물체 개수, 형상 및 치수, 제품 표면, 마킹 유무 등
2) 사물 위치 파악: 얼라인 및 위치 보정, pick and place 할 제품 위치 등
3) 불량 검출: 이물, 스크래치, 얼룩, 부품 개수 등의 불량 검출 등

3.구성 요소
1) 카메라: 검사 대상을 촬영하여 PC나 컨트롤러로 전송함
2) 조명: 카메라를 통해 ROI를 부각시키고 빛을 비춰줌
3) 렌즈: 이미지를 캡쳐하여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빛의 형태로 나타냄(이미지의 품질과 해상도를 측정하는 역할)
4) 이미지 센서: 렌즈가 나타낸 빛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한 다음 프로세서로 전송함
5) 이미지 그래버: 카메라 영상을 PC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영상 수신장치
6) 비전프로세싱: 이미지 검토, 선별적 정보 추출, 필수 검사 실행 후 결정을 내리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됨
7) 통신(cable): 비전 시스템의 각 부품들을 직렬로 연결함

4. 동작 원리
CCD 화소의 밝기 값을 비교하여 계산한 평균과 표준 편차를 기준으로, 평균과 극도로 떨어진 부분을 검색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의 면적을 계산함
→ '어떤 하나의 좌표(세로 n번째 줄, 가로 m번째 줄) 화소 밝기가 평균에 비해 극도로 밝으므로 10개 화소에 이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와 같은 종류의 결론을 내림
→ 최종 판단, 사후 검사는 인간이 수행함

5. 머신비젼 인터페이스에 따른 분류
1) GigE 카메라: Gigabit Ethernet을 기반으로 하는 고속 카메라 인터페이스용으로, 표준 Cat-5 및 Cat-6 케이블을 사용함. 여러 대의 카메라, 긴 케이블이 필요한 경우 또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며 GigE포트를 사용해 PC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됨.
2) USB3.0 카메라: 대부분의 PC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USB3.0 기술을 이용해 일반 PC와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됨.
3) CameraLink 카메라: 자동 검수 및 공정 제어와 관련된 머신비전 용도로 개발된 고속 serial interface표준. 외부 노이즈에 강하며 신뢰성 높은 고해상도 이미지 검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됨.
4) CoaXPress 카메라: 대용량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신뢰성, 전송 거리의 제약 등을 모두 해결한 차세대 고속 인터페이스 머신비전 표준. 1개의 채널(동축 케이블)을 통해서 이미지 데이터, 카메라 제어, 트리거링, GPIO, 전원까지 공급이 가능한 특징이 있음.
6.장점
1) 고품질: 검사, 측정, 게이지, 조립 검증
2) 생산성 증대: 수작업으로 하던 반복 작업을 머신비전 시스템으로 완수하여 동일 시간 내 생산성 증가
3) 보다 완벽한 정보와 세밀한 공정 제어: 컴퓨터 데이터 피드백 제공가능
4) 생산비용 절감: 비전 시스템 1대 vs. 다수의 작업자
5) 재고 관리: 광학 문자 인식 및 식별을 통한 효율적인 재고 관리
7. 적용분야 및 활용 분야
1) 반도체, LCD: IC외관 검사, 웨이퍼 표면/패턴 검사, 리드 프레임 검사, 본딩 검사, 위치 판독, LCD 마킹 위치 정렬 상태 및 이물검사, LCD 패턴검사 등
2) 전기,전자(PCB/SMT): 휴대폰 CCM 검사, 휴대폰 키패드 불량검사, 배터리 보조회로 이물검사, LED 생상 검사 등
3) Web 검사: Flexible PCB, 필름 검사, 섬유 검사, 종이 검사 등
4) 보안 및 의료: DVR, 생체 인식 등
5) 기타: 유통기한 인쇄 유무검사, 용기 성형상태 및 이물검사, 바코드 인식 등

1. 정의
1) 기계에 인간의 시각과 판단 능력을 부여하여 사람이 인지하고 판단하는 기능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대신 처리하는 기술
2. 기능

1) 사물 인지: 물체 개수, 형상 및 치수, 제품 표면, 마킹 유무 등
2) 사물 위치 파악: 얼라인 및 위치 보정, pick and place 할 제품 위치 등
3) 불량 검출: 이물, 스크래치, 얼룩, 부품 개수 등의 불량 검출 등
3.구성 요소

1) 카메라: 검사 대상을 촬영하여 PC나 컨트롤러로 전송함
2) 조명: 카메라를 통해 ROI를 부각시키고 빛을 비춰줌
3) 렌즈: 이미지를 캡쳐하여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빛의 형태로 나타냄(이미지의 품질과 해상도를 측정하는 역할)
4) 이미지 센서: 렌즈가 나타낸 빛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한 다음 프로세서로 전송함
5) 이미지 그래버: 카메라 영상을 PC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영상 수신장치
6) 비전프로세싱: 이미지 검토, 선별적 정보 추출, 필수 검사 실행 후 결정을 내리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됨
7) 통신(cable): 비전 시스템의 각 부품들을 직렬로 연결함
4. 동작 원리

CCD 화소의 밝기 값을 비교하여 계산한 평균과 표준 편차를 기준으로, 평균과 극도로 떨어진 부분을 검색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의 면적을 계산함
→ '어떤 하나의 좌표(세로 n번째 줄, 가로 m번째 줄) 화소 밝기가 평균에 비해 극도로 밝으므로 10개 화소에 이물질이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와 같은 종류의 결론을 내림
→ 최종 판단, 사후 검사는 인간이 수행함
5. 머신비젼 인터페이스에 따른 분류
1) GigE 카메라: Gigabit Ethernet을 기반으로 하는 고속 카메라 인터페이스용으로, 표준 Cat-5 및 Cat-6 케이블을 사용함. 여러 대의 카메라, 긴 케이블이 필요한 경우 또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며 GigE포트를 사용해 PC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됨.
2) USB3.0 카메라: 대부분의 PC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USB3.0 기술을 이용해 일반 PC와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됨.
3) CameraLink 카메라: 자동 검수 및 공정 제어와 관련된 머신비전 용도로 개발된 고속 serial interface표준. 외부 노이즈에 강하며 신뢰성 높은 고해상도 이미지 검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됨.
4) CoaXPress 카메라: 대용량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신뢰성, 전송 거리의 제약 등을 모두 해결한 차세대 고속 인터페이스 머신비전 표준. 1개의 채널(동축 케이블)을 통해서 이미지 데이터, 카메라 제어, 트리거링, GPIO, 전원까지 공급이 가능한 특징이 있음.
6.장점
1) 고품질: 검사, 측정, 게이지, 조립 검증
2) 생산성 증대: 수작업으로 하던 반복 작업을 머신비전 시스템으로 완수하여 동일 시간 내 생산성 증가
3) 보다 완벽한 정보와 세밀한 공정 제어: 컴퓨터 데이터 피드백 제공가능
4) 생산비용 절감: 비전 시스템 1대 vs. 다수의 작업자
5) 재고 관리: 광학 문자 인식 및 식별을 통한 효율적인 재고 관리
7. 적용분야 및 활용 분야
1) 반도체, LCD: IC외관 검사, 웨이퍼 표면/패턴 검사, 리드 프레임 검사, 본딩 검사, 위치 판독, LCD 마킹 위치 정렬 상태 및 이물검사, LCD 패턴검사 등
2) 전기,전자(PCB/SMT): 휴대폰 CCM 검사, 휴대폰 키패드 불량검사, 배터리 보조회로 이물검사, LED 생상 검사 등
3) Web 검사: Flexible PCB, 필름 검사, 섬유 검사, 종이 검사 등
4) 보안 및 의료: DVR, 생체 인식 등
5) 기타: 유통기한 인쇄 유무검사, 용기 성형상태 및 이물검사, 바코드 인식 등